로마서 3장 3-8절
3 어떤 자들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어찌하리요 그 믿지 아니함이 하나님의 미쁘심을 폐하겠느냐 4 그럴 수 없느니라 사람은 다 거짓되되 오직 하나님은 참되시다 할지어다 기록된 바 주께서 주의 말씀에 의롭다 함을 얻으시고 판단 받으실 때에 이기려 하심이라 함과 같으니라 5 그러나 우리 불의가 하나님의 의를 드러나게 하면 무슨 말 하리요 [내가 사람의 말하는 대로 말하노니] 진노를 내리시는 하나님이 불의하시냐 6 결코 그렇지 아니하니라 만일 그러하면 하나님께서 어찌 세상을 심판하시리요 7 그러나 나의 거짓말로 하나님의 참되심이 더 풍성하여 그의 영광이 되었다면 어찌 내가 죄인처럼 심판을 받으리요 8 또는 그러면 선을 이루기 위하여 악을 행하자 하지 않겠느냐 어떤 이들이 이렇게 비방하여 우리가 이런 말을 한다고 하니 그들은 정죄 받는 것이 마땅하니라
나를 믿어 주시는 하나님 (로마서 3장 3-8절)
< 죄를 변명하지 말라 >
명백한 죄를 지었으면 변명하지 말라. 그때는 변명할수록 궤변론자가 된다. 하나님은 변명을 아주 싫어하신다. 인간 판사도 변명을 싫어한다. 그래서 변호사가 필요하다. 변호사의 변호는 참고해도 죄인의 자기변호는 신뢰할 수 없다는 뜻이다. 하물며 하나님 앞에서 궤변을 늘어놓으면 하나님이 어떻게 생각하시겠는가? 하나님 앞에서는 오직 회개해야 한다.
사람에게는 죄를 안 지을 수 있는 선택권과 자유의지가 있다. 내 죄에 대해서는 내가 책임을 져야 한다. 죄를 짓고 나서 “돈이 없어서... 불우한 환경에서 자라서...”라고 죄의 책임을 남 탓이나 환경 탓으로 돌리지 말라. 죄를 변명하는 것은 죄를 저지르는 것보다 더 나쁠 수 있다. 죄를 지었을 때는 빨리 회개하는 것이 상책이다. 회개의 기회를 놓치면 더욱 죄의 노예가 된다.
왜 다윗이 성군이 되었는가? 나단 선지자가 자기 죄를 들췄을 때 철저히 참회했기 때문이다(시편 51편). 죄를 변명하면 더 심판받는다. 죄를 지었으면 일단 말이 없어야 한다. 죄를 변명하려고 하지 말고 더 나아가 죄를 짓고서 “나 때문에 결국 더 좋은 결과가 생겼다.”라고 하지 말라. 묵묵히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잘못이 생기면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책임적인 사람이 결국 복을 받는다.
사는 길은 변명과 후회에 있지 않고 회개와 참회에 있다. 후회와 참회는 다르다. 똑같이 예수님을 배신했지만 가룟 유다는 후회해서 결국 멸망의 길로 갔고 베드로는 참회해서 결국 생명의 길을 찾았다. 후회와 변명은 사람을 망치지만 참회와 회개는 사람을 다시 멋지게 일으킨다. 회개를 앞세워 나아가면 신실하신 하나님은 그를 믿어 주시고 그에게 능력도 주시고 그의 미래를 누구보다 복되게 만드실 것이다.
< 나를 믿어 주시는 하나님 >
신실하신 하나님을 순수하게 믿고 전진하라. 사람은 대개 하나님이 주신 능력의 수준보다 못한 삶을 산다. 왜 그런가? “못한다. 불가능하다.”라는 부정적인 소리를 듣고 현실에 안주하기 때문이다. 남들은 내가 가진 꿈에 대해 “재원이 없다. 자질이 없다. 인맥이 없다. 때가 아니다.”라고 하면서 계속 ‘못한다, 안 된다’는 시그널을 보낸다. 그러나 내 운명은 남들이 결정하지 않고 하나님이 결정하신다.
남들이 모두 나를 믿어 주고 박수갈채하는 상황을 바라지 말라. 심지어는 가족과 친구와 동료들조차 자신의 꿈에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할 수 있다. 찬란한 꿈에는 늘 부정적인 얘기가 들려온다. “그 일은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비현실적입니다. 저도 똑같은 케이스를 아는데 그 사람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부정적인 얘기들이 들려도 뚝심 있게 찬란한 꿈과 비전을 향해 하나님만 믿고 나아가라.
사람의 불신이 하나님의 약속을 폐할 수 없다(3절). 남의 부정적인 말에 연연하며 그가 나를 가치 있게 생각해 주기를 너무 기대하지 말라. 나는 하나님이 가치 있게 보시기에 가치 있는 존재이지 남들이 가치 있다고 여겨 주기에 가치 있는 존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내게 주어진 것이지 남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다. 남들은 내 꿈이 이뤄지는 것을 믿을 필요도 없고 믿지도 않는다. 그들이 내 꿈을 믿어주지 않아도 너무 실망하지 말라.
중요한 것은 꿈과 비전을 주신 하나님이 나를 믿어 주시고 때가 되면 그 꿈과 비전을 이뤄 주실 것이란 사실이다. 하나님이 주신 꿈과 비전은 남이 보증해야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그런 믿음의 원리를 모르고 사람들은 대개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자신을 포장한다. 그리고 속으로 기대한다. '내가 이 얘기를 하면 그가 감동하며 도와주겠지.'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사람의 감동’이 아니라 ‘하나님의 감동’이다.
ⓒ 이한규목사 http://www.john316.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