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2장 25-29절
25 네가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나 만일 율법을 범하면 네 할례는 무할례가 되느니라 26 그런즉 무할례자가 율법의 규례를 지키면 그 무할례를 할례와 같이 여길 것이 아니냐 27 또한 본래 무할례자가 율법을 온전히 지키면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겠느냐 28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니라 29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
형식주의에 빠지지 말라 (로마서 2장 25-29절)
< 할례의 진정한 의미 >
사도 바울은 자신의 변화를 간증하면서 할례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나는 팔일 만에 할례를 받고 이스라엘 족속이요 베냐민 지파요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요 율법으로는 바리새인이요/ 열심으로는 교회를 박해하고 율법의 의로는 흠이 없는 자라(빌 3:5-6).” 그 정도로 이스라엘 사람들은 ‘할례’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방인들이 유대인으로 귀화하려면 먼저 할례를 받아야 했다.
할례는 이스라엘 민족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뿌리가 되는 의식이었고 선민과 구원의 징표였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할례에 대한 맹신은 잘못이라고 질타하며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지만 율법을 범하면 할례 받은 것이 아무 소용 없는 무할례가 된다고 했다(25절). 즉 할례라는 외적인 의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율법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다. 편협하고 교만한 유대 율법주의자들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말이었다.
더 나아가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들이 율법을 지켜 행하면 할례 받고서 율법을 범하는 사람들보다 낫다고 했다(26-27절). 결론적으로 사도 바울은 이렇게 언급했다.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니라/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28-29절).”
유대인들의 형식적인 할례는 무할례와 같다는 사도 바울의 말은 그들의 자랑의 근거를 송두리째 흔드는 말이었다. 그러나 지극히 당연한 진리다. 표면보다 이면이 중요하고 육신의 할례보다 마음의 할례가 중요하다는 바울의 선언은 당시 유대인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혁명적인 선언이었지만 율법의 참된 의미를 깨달았던 사람에게는 형식적인 신앙이 아닌 참된 신앙을 결단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었다.
< 형식주의에 빠지지 말라 >
사람들은 이면을 보지 못하고 주로 표면만 보고 판단한다. 또한 사람의 칭찬도 대개 표면을 보고 이뤄진다. 반면에 하나님은 이면을 보시기에 하나님의 칭찬은 사람의 마음을 보고 이뤄진다. 결국 하나님의 칭찬 받는 성도가 되려면 마음의 할례를 받아 진실한 마음을 가지고 말씀대로 살려고 해야 한다.
표면적인 믿음이 아닌 이면적인 믿음을 추구하라. 이면적인 믿음은 반석 위에 집을 지은 것과 같고 표면적인 믿음은 모래 위에 집을 지은 것과 같다. ‘친구 따라 강남 가는 무리 신앙’이 아닌 ‘비전 따라 움직이는 우리 신앙’을 가지라. 숫자나 외형에 너무 매달리지 말라. 숫자나 외형을 무시하라는 말은 아니다. 숫자나 외형에 매달리지 않았는데 주어진 숫자와 외형의 은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은혜다.
외형은 내면의 상태를 보여 주는 것이 되는 경우도 많다. 다만 너무 외형을 중시한 나머지 형식주의로 흐르면 안 된다. 교회에 다니고 직분을 얻고 교회를 위해 봉사하는 것 등과 같은 표면적인 것들은 구원의 조건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내적인 진실한 신앙고백과 하나님께 진실한 마음을 드리고 말씀대로 살려는 노력이다. 말씀에 대한 신실한 순종도 없이 형식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면 하나님의 칭찬을 받지 못한다.
사람의 믿음이 연약해서 말씀대로 완벽하게 살지는 못해도 말씀대로 살려는 마음의 중심은 있어야 한다. 그런 마음도 없이 형식적으로 교회에 다니고 예배하는 것은 결코 복된 모습이 아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생길 수 있는 형식적인 믿음으로부터 나를 힘써 지키라. 율법주의자들의 전철을 따르지 않도록 늘 말씀 앞에 겸허하게 서서 말씀대로 살려고 노력할 때 형식주의를 극복해서 시간과 함께 믿음이 후퇴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 이한규목사 http://www.john316.or.kr